토의토론
페이지 정보
본문
[우리말 나들이] 슬기로운 우리말 생활 - 토의/토론, MBC 220429 방송
★★★More clips are available★★★ iMBC http://www.imbc.com/broad/tv/culture/hangul/vod/ WAVVE http://playvod.imbc.com/Vod/VodPlay?broadcastId=1000841104893100000
[중학 3학년 | 국어] 토의와 토론 | 토의 | 토론 | 공통된 주제
이번 시간에는 토의와 토론에 대해 배워 보아요!
2주간 밀크티타임과 함께하는 밀크T 홈스쿨링!
밀크티타임과 함께 같이 공부해 봐요!
밀크T 홈스쿨링 특별시간표를 확인해 보세요!
이승진 : 도움이 많이 되는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태현 : 출첵
서지운 : 온라인 클래스 ㅋㅋㄹㅃㅃ
핀란드 초딩들이랑 토론하면 내가 질 듯,,,ㅠ 핀란드 초등학교의 고퀄리티 사회 수업 엿보기 │#수업을바꿔라 200428 EP1 #04
#수업을바꿔라 EP1 #04
핀란드 초딩들이랑 토론하면 내가 질 듯,,,ㅠ 핀란드 초등학교의 고퀄리티 사회 수업 엿보기
tvN 수업을 바꿔라(2017) :
학교에서 놀면 어때? 아빠와 아이가 세계 각국의 창의적인 수업을 직접 경험하는 리얼 교육 버라이어티
☞ 1편부터 정주행하기 : https://bit.ly/2Wm7WQD
Jiyae : 한국 선생님들이 저런 토론 수업을 받아 본적이 없는데 어떻게 토론수업을 진행할 지 우리나라 교육제도 바꾸기 앞서 선생님들부터 외국 나가서 트레이닝을 밟고 와야 되겠구나. 성인을 가르치는 대학에서조차도 토론수업은 찾아 볼 수 없으니 참 답답하구나. 허나 대한민국.. 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 먼저 깨닫는게 중요하다. pd 가 누군지 아이디어 좋구나. Cheers !!
장미라 : 토론하라고 하면 다들 입이 꾹 닫히는 우리나라 교실의 모습이 생각납니다. 어렸을때부터 저렇게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할수 있으면 속병(마음의 병)도 덜 들것 같아요. 연속으로 몇편을 보다보니 저는 학교에서 선거와 투표에 대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기억이 없네요. 우리 아이들은 어떤지 한번 이야기를 나눠봐야겠습니다.
kid bright : 한 반에 10명밖에 없다는 게 일단 부럽다.
김성원 : 강박적으로 수업 진도를 빼야 하는 양상도 없어져야만 해요. 토론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시간이 길어져서, 쫓기듯 수업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수 있거든요..학생수가 줄어드는게 우선이고, 그다음은 강박적으로 수많은 진도를 빼는 커리큘럼 방식을 멈춰야만 토론이 자유롭고 풍부하게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아이러니 하게도, 토론대회에 나가는 한국 애들 보면 토론을 의외로 기가 막히게 잘해요..
blackout : 공리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토론인데
한국은 전통적 가치관과 기본 정신문화에 녹아있어서 가족과 사회로부터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부분이라 ㅋㅋㅋ
★★★More clips are available★★★ iMBC http://www.imbc.com/broad/tv/culture/hangul/vod/ WAVVE http://playvod.imbc.com/Vod/VodPlay?broadcastId=1000841104893100000
[중학 3학년 | 국어] 토의와 토론 | 토의 | 토론 | 공통된 주제
이번 시간에는 토의와 토론에 대해 배워 보아요!
2주간 밀크티타임과 함께하는 밀크T 홈스쿨링!
밀크티타임과 함께 같이 공부해 봐요!
밀크T 홈스쿨링 특별시간표를 확인해 보세요!
이승진 : 도움이 많이 되는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태현 : 출첵
서지운 : 온라인 클래스 ㅋㅋㄹㅃㅃ
핀란드 초딩들이랑 토론하면 내가 질 듯,,,ㅠ 핀란드 초등학교의 고퀄리티 사회 수업 엿보기 │#수업을바꿔라 200428 EP1 #04
#수업을바꿔라 EP1 #04
핀란드 초딩들이랑 토론하면 내가 질 듯,,,ㅠ 핀란드 초등학교의 고퀄리티 사회 수업 엿보기
tvN 수업을 바꿔라(2017) :
학교에서 놀면 어때? 아빠와 아이가 세계 각국의 창의적인 수업을 직접 경험하는 리얼 교육 버라이어티
☞ 1편부터 정주행하기 : https://bit.ly/2Wm7WQD
Jiyae : 한국 선생님들이 저런 토론 수업을 받아 본적이 없는데 어떻게 토론수업을 진행할 지 우리나라 교육제도 바꾸기 앞서 선생님들부터 외국 나가서 트레이닝을 밟고 와야 되겠구나. 성인을 가르치는 대학에서조차도 토론수업은 찾아 볼 수 없으니 참 답답하구나. 허나 대한민국.. 할 수 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 먼저 깨닫는게 중요하다. pd 가 누군지 아이디어 좋구나. Cheers !!
장미라 : 토론하라고 하면 다들 입이 꾹 닫히는 우리나라 교실의 모습이 생각납니다. 어렸을때부터 저렇게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말할수 있으면 속병(마음의 병)도 덜 들것 같아요. 연속으로 몇편을 보다보니 저는 학교에서 선거와 투표에 대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기억이 없네요. 우리 아이들은 어떤지 한번 이야기를 나눠봐야겠습니다.
kid bright : 한 반에 10명밖에 없다는 게 일단 부럽다.
김성원 : 강박적으로 수업 진도를 빼야 하는 양상도 없어져야만 해요. 토론을 하다 보면 생각보다 시간이 길어져서, 쫓기듯 수업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수 있거든요..학생수가 줄어드는게 우선이고, 그다음은 강박적으로 수많은 진도를 빼는 커리큘럼 방식을 멈춰야만 토론이 자유롭고 풍부하게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아이러니 하게도, 토론대회에 나가는 한국 애들 보면 토론을 의외로 기가 막히게 잘해요..
blackout : 공리주의적 가치관에 대한 토론인데
한국은 전통적 가치관과 기본 정신문화에 녹아있어서 가족과 사회로부터 자연스럽게 체득하는 부분이라 ㅋㅋㅋ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